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악7

신라의 음악과 통일신라시대의 음악 그리고 당악 1.신라의 음악 신라는 가야국 멸망 무렵 가야금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 가야금이 신라의 유일한 악기로 신라음악을 대표하게 되었다. 삼국사기 악지 정명왕 9년조를 보면, 당시 신라의 연향악으로 쓰인 가야금의 용례를 다음과 같은 내용에서 알 수 있다. 가무:내물왕 때 4세기경 작. 감 6인, 가척 2인, 무척 1인. 하신열무:유리왕 때 3세기 작. 감 4인, 금자비 1인, 춤자비 2인, 노래자비 3인. 사내무:내해왕 때 3세기초 작. 감 3인, 금자비 1인, 춤자비 2인, 노래자비 2인. 한기무:연대 미상. 감 3인, 금자비 1인, 춤자비 2인, 노래자비 없음. 상신열무:유리왕 때 3세기 작. 감 3인, 금자비 1인, 춤자비 2인, 노래자비 2인. 소경무:연대 미상. 감 3인, 금자비 1인, 춤자비 1인,.. 2022. 6. 9.
백제의 음악과 가야의 음악 1.백제의 음악 일본후기에 전하는 백제음악의 내용은 궁꼬,마꾸모,횡적 등의 편성으로 춤을 반주하는 고구려의 음악과 대개 같다. 이처럼 백제와 고구려가 동일악기의 편성으로 음악을 연주하였던 점은 양국이 부여족이라는 동일민족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양국이 거문고를 공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거문고가 신라에 수용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반드시 재고해 보아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일본 궁중에 전하여진 백제악은 백제국의 풍속무로 이에 따른 반주음악 역시 관련합주의 백제 민속음악이었을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여 주는 증거로 고려사 악지에 전하는 백제 음악조를 들 수 있다.왜냐하면, 고려사악지에는 선운산,무등산,정읍 등의 곡명이 전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정읍은 거문고를 포함한 향악기로 반주하는 향.. 2022. 6. 9.
고구려의 음악과 전기 1.고구려의 음악 고구려의 대표적인 악기는 거문고이다. 삼국사기 악지에는 진나라에서 보내온 중국의 칠현금을 개조하여 만든 현악기가 거문고라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안악 제3호분의 후실 벽화에서 보이는 현악기가 분명히 거문고라면, 고구려에는 이미 357년 무렵에 거문고가 존재하였을 것이다.이 밖에 통구에 있는 무용총벽화에는 한 연주자가 17개의 괘 위에 4현이 걸려 있는 현악기를 술대로 연주하는 모습이 보이는데, 이 악기가 바로 16괘 6현으로 된 현행 거문고의 원형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고구려의 거문고는 궁꼬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전하여졌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궁꼬는 횡적과 마꾸모와 함께 춤을 반주하였다.이와 같은 고구려 음악의 악기편성은 일본에 전해진 백제악의 편성과 비슷한 것으로 백제악이 풍속무였던.. 2022. 6. 9.
한국음악의 역사와 즉흥연주에 관하여 1.상고시대의 음악 상고시대는 북쪽의 부여,옥저,예와 남쪽의 마한,진한,변한이 병존하였던 이른바 삼한시대로, 대략 3세기 이전을 가리킨다. 중국의 문헌에 단편적으로 전하는 이 시대의 음악 관련기록에 의하면, 마한에서는 늦어도 285년 이전에 5월 하종 후에 농사의 풍작을 빌고, 10월 추수 끝에 풍작을 감사하는 굿을 벌였다. 마한 사람들은 이 굿 동안 밤낮으로 가무를 계속하였는데, 그 절주가 중국의 탁무와 같았다는 기록에 비추어 춤의 반주에 금속 타악기가 사용된 듯하다. 이와 유사한 점으로 오늘날의 시골 도당굿 또는 별신굿에도 징과 북의 반주에 맞추어 추는 가무를 찾아볼 수 있는데, 이처럼 소란한 마한의 야외음악이 한국전통음악의 일면이라 하겠다. 한편, 변진에는 중국의 슬(瑟)처럼 옆으로 뉘어 타는 현악.. 2022. 6. 9.
반응형